신입MD 과제 선택 2번

컬리 뷰티 상품 큐레이션

*다음의 배경을 읽고 문제에 대한 답변 작성 후, 과제를 제출해 주세요.


[배경]

컬리는 ‘22년 11월, 버티컬커머스로 뷰티컬리를 런칭한 이후 기존 마켓컬리의 주고객이었던 35-55세 고객을 중심으로 뷰티 사업을 빠르게 성장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향후 시장에서 바잉파워가 커질 20대 고객들을 위한 상품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컬리에 입사한 신입 뷰티 MD 김컬리님은 20대 사회 초년생 여성 고객을 타겟으로, 그들에게 소구할 수 있는 색조 뷰티 상품 큐레이션을 해보라는 과제를 받았습니다. 이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디스커버리 커머스 (Discovery Commerce) 마케팅에 지속 노출되어 있고 결정장애를 겪고 있는 동시에, ‘페르소비 (페르소나+소비)’를 추구하며 자신만의 정체성을 찾고 취향을 거침없이 드러내고자 하는 소비 욕구가 강한 세대입니다.


한편, 컬리는 5대 핵심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상품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구현하는 방식 역시 이 핵심가치에 기반해야 합니다. 김MD는 핵심가치에 기반한 ‘컬리다운’ 상품을 큐레이션 함과 동시에, 시장성 확장에도 좋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상품 기획을 해보고자 합니다

※ 핵심가치 : 컬리가 변함없이 추구하는 것, 즉, 모든 의사결정의 준거가 되는 원칙/신념 (Principle & Belief), 

컬리가 고객과 이해관계자 대하는 방식, 상품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구현하는 방식, 구성원이 일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24년 ‘뷰티 & 헬스 트렌드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뷰티 제품 관련 온라인 트래픽은 14.3%, 온라인 거래는 11.3% 증가했다고 하며, 뷰티 부문이 온라인 리테일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특히, 국내 온라인 뷰티 시장은 확대일로에 있는데,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뷰티·퍼스널케어 시장 규모는 133억  달러(약 17조8,579억 원), 온라인 구매 비중은 59%를 차지 할 정도로 성장했다고 합니다. 이는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뷰티 부문에서 e커머스 침투율이 과반을 기록한 건 한국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특히 화장품의 온라인 쇼핑 상승률은 팬데믹을 거치며 통신기기(33.6%) 여행 및 교통서비스(25.8%) 다음으로 높아진 상황인데, 이 중 모바일 거래는 약 80%에 달한다고 합니다.


더불어 커진 시장 규모만큼이나 뷰티 플랫폼의 경쟁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패션 플랫폼들이 패션과의 연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온라인 기반 뷰티 카테고리 강화에 나서고 있고, A사는 오프라인 매장을 물류센터로 활용해 온라인 퀵커머스 서비스로 새로운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MD는 20대 사회 초년생을 타겟으로 한 ‘컬리만의’, ‘컬리다운’ 차별화된 색조화장품의 큐레이션 전략을 어떻게 접근해갈지 고민 중입니다.


[문제]

컬리의 김MD라고 가정하고 컬리몰에 입점시킬 20대 사회초년생을 위한 색조 뷰티 상품을 큐레이션 해 보시기 바랍니다.


1)타겟 고객과 시장을 분석해보세요.

2)컬리의 5대 핵심가치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에 기반하여 상품을 큐레이션 해 보시고 (해당 상품을 큐레이션 한 논리적 근거 포함),

3)USP (Unique Selling Proposition) 전략을 수립하여 제안해 보시기 바랍니다.

*작성한 과제의 제출파일 형식은 PPT, WORD, PDF 등 어떤 형식이든 무관합니다.